부산, 이러다 사라질라…광역시 중 첫 '소멸 위험 지역'

 

부산, 65세 인구비율 23% 기록…광역시 중 유일한 초고령사회 진입

 

시도 중에선 전남이 소멸 위험 가장 커

 

부산이 광역시 가운데 처음으로 '소멸 위험 지역'에 진입했다. 저출생과 초고령화로 인해 광역시도 인구소멸 위기 단계로 접어든 것이다. 전국 17개 광역 시도 중에서는 전남이 소멸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간한 '지역산업과 고용' 여름호에서 이상호 연구위원은 통계청의 주민등록인구통계를 이용해 분석한 2024년 3월 기준 소멸위험지역의 현황과 특징을 분석했다.

 

분석에 따르면 17개 시·도 중 소멸 위험 지역은 7곳으로 나타났다. 부산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3.0%를 기록하며 광역시 중 유일하게 초고령사회로 진입했다.

임신 및 출산 적령기로 분류되는 20∼39세 여성 인구는 11.3%에 그치면서 소멸위험지수는 0.49를 기록했다.

소멸위험지수 값은 임신·출산 적령기 여성 인구 수를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수치다. 소멸위험지수가 1.5 이상이면 소멸 저위험, 1.0∼1.5이면 보통, 0.5∼1.0이면 주의, 0.2∼0.5면 '소멸 위험', 0.2 미만은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한다.

 

17개 시도 중 소멸위험지역은 전남(0.329), 경북(0.346), 강원(0.388), 전북(0.394), 경남(0.444), 충남(0.464), 충북(0.487) 순으로 나타났다. 소멸 위험이 가장 낮은 곳은 세종(1.113)으로 나타났다.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소멸 위험 지역은 130곳(57.0%)으로 나타났다. 20~30대 여성인구가 65세 인구의 5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소멸 고위험' 지역은 57곳이다.

이상호 연구위원은 "소멸위험지역이 최근까지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저출생 대책과 마찬가지로 지방소멸 대책도 별다른 성과를 거두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인구감소, 디지털전환, 기후위기와 같은 다중위기가 도래하는 대격변의 시대에 기존 사업들의 변형, 혹은 개별사업 중심의 미시적 접근만으로는 고립된 지역을 떠나가는 청년들의 발길을 되돌리기 어렵다"고 제언했다.

이 위원은 "지방에서도 다양한 인재들이 자신의 재능을 꽃피울 수 있도록 다층적 공간 수준에서 산업-교육-주거-복지-문화를 일자리와 연계하는 융복합 전략이 씨줄과 날줄처럼 엮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