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시간 천하' 볼리비아 쿠데타 종료…군대 철수·주동자 체포

장갑차 동원해 대통령궁 입구 부수기도…"진정한 민주주의 만들 것"

아르세, 쿠데타에 조직적 대응 촉구…칠레·브라질 등 국제사회 거센 비난


남미 볼리비아에서 26일(현지시간) 군부 쿠데타가 발생해 대통령궁까지 들어갔으나 국민들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철수한 뒤 주동자도 체포되면서 3시간 만에 실패로 끝이 났다.

로이터·AP 통신 등에 따르면, 수니가 총사령관이 이끈 군대는 이날 오후 3시쯤 장갑차와 탱크까지 동원해 수도 대통령궁 등이 모여 있는 라파스 무리요 광장에 집결했다.

 

수니가 총사령관은 현지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새로운 내각이 구성되면 분명 상황이 달라지겠지만 우리나라는 더 이상 이런 상태로 지속될 수 없다"며 "군은 민주주의를 재건하고 30, 40년 동안 똑같은 소수 인사들에 의해 돌아가는 민주주의가 아니라 진정한 민주주의를 만들려고 한다"라고 말했다.

이후 군대들은 몰려든 주변 인파를 통제하면서 장갑차를 동원해 대통령궁 입구를 부수고 진입해 루이스 아르세 대통령과 대치했다. 아르세 대통령은 수니가 총사령관에게 "나는 당신의 대장이다. 병사들의 철수를 명령한다"며 "불복종은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르세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에 "민주주의는 존중받아야 한다"며 정부 청사 앞에 집결해 있는 탱크 두 대와 군인의 모습을 게재하기도 했다. 그는 또한 대국민 연설을 통해 "오늘 이 나라는 쿠데타 시도에 직면해 있으며 민주주의가 단절될 위기에 처해 있다"며 국민들이 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쿠데타에 맞서 조직적으로 나서 줄 것을 촉구했다.

 

아르세 대통령은 이후 곧바로 육군, 해군, 공군 참모총장을 교체했다. 신임 호세 윌슨 산체스 신임 육군 참모총장은 "아무도 우리가 거리에서 보고 있는 모습들을 원치 않는다"며 병력들의 복귀를 명령했다. 볼리비아 최대 노동조합도 쿠데타 시도를 비난하며 정부 수호를 위해 무기한 파업을 선언했다.

국제사회도 쿠데타 시도 규탄에 가세했다. 가브리엘 보릭 칠레 대통령은 "우리는 이번 쿠데타 시도를 규탄하며 기관들이 제 기능을 다하고 헌법과 법률이 존중될 것을 요구한다"며 "우리는 아무도 부상을 입지 않기를 바라며 루이스 아르세 대통령의 합법 정부가 계속해서 볼리비아 국민이 투표한 임무를 계속 수행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호세프 보렐 유럽연합(EU) 외교·안보 정책 고위대표도 "EU는 볼리비아의 헌법 질서를 깨고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부를 전복하려는 모든 시도를 비난한다"고 강조했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도 소셜미디어 X를 통해 "나는 민주주의를 사랑하며 라틴 아메리카 전역에 민주주의가 널리 퍼지기를 원한다"며 "볼리비아의 모든 형태의 쿠데타를 규탄한다"고 밝혔다.

중남미·카리브해국가공동체(CELAC) 임시 의장을 맡고 있는 시오마라 카스트로 온두라스 대통령도 볼리비아의 상황을 쿠데타로 규정, 쿠데타를 규탄하는 긴급회의를 소집했다.

결국 군대는 이날 쿠데타를 시도한 지 3시간 만인 오후 6시쯤 철군했고 수니가 총사령관은 막사에서 장병들을 상대로 연설을 하던 중 경찰에 체포됐다. 수니가 총사령관은 체포 직전 취재진에게 "대통령이 상황이 매우 어려우니 지지를 끌어올릴 수 있는 방안을 준비할 것을 지시했다"며 쿠데타 시도가 대통령의 지시에 따른 것임을 시사하기도 했다.

아르세 대통령은 쿠데타 시도가 실패로 끝난 후 무리요 광장에 모인 시민들 앞에서 "국민들께 감사드린다. 민주주의 만세"라고 말했다. 시민들은 다 같이 국가를 부르며 환호했다.

이날 수니가 총 사령관은 에보 모랄레스 전 대통령이 2025년 대통령 선거에 나서는 것을 반대해 군대를 집결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전날 성명에서 "모랄레스는 더 이상 이 나라의 대통령이 될 수 없다. 헌법이 짓밟히고 국민의 명령에 불복종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수니가 사령관은 해당 발언으로 직위에서 해제됐다.

모랄레스 전 대통령은 지난 2005년 첫 원주민 대통령으로 당선된 후 2009년과 2014년에 연임에 성공하면서 2019년까지 14년간 장기집권했다. 이후 4선 연임에 나섰다가 부정 투표 시비로 사퇴 후 망명한 후 지난 2020년 10월 아르세 대통령이 당선된 후 귀국, 아르세 대통령에 맞서 2025년 대선 출마 계획을 세웠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