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서 극우 포퓰리즘 전략 먹히네…佛 르펜 '경제서 가장 신뢰'

르펜 경제 정책에 "국가 부채 위기 빠질수도" 경고음

 

프랑스 총선을 앞두고 극우 세력이 경제 정책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에도 불구하고 선두를 달리고 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에 대한 실망감과 포퓰리즘 정책으로 대중의 표를 휩쓸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23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일간 르파리지앵과 라디오 프랑스가 지난 19~20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극우 프랑스 국민연합(RN)의 지지율은 35.5%로 1위를 차지했다.

 

좌파 연합인 신인민전선(NPF)은 29.5%로 2위를,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속한 르네상스 등 중도파는 19.5%로 3위에 머물렀다.

RN은 '경제'를 부각하며 표를 끌어모으고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경제 문제에 있어 가장 신뢰하는 정당 또는 연합은 무엇인지 묻는 항목에서 RN은 25%로 나타났다. NFP는 22%, 중도 연합은 20% 등이다.

또 유권자들은 경제 문제를 이번 선거에서 두 번째로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FT의 같은 여론조사에서 '현재 가장 우려되는 문제'로는 사회, 경제, 이주민 문제가 순서대로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FT는 "생활 수준 개선, 적자 관리, 세금 인하 분야에서 RN이 가장 큰 지지를 얻었다"며 "공공 적자와 부채를 줄이는 데 있어 RN을 가장 신뢰한다고 답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를 주도한 입소스의 마티유 갈라드는 "이러한 여론조사 결과는 RN의 '정상화'(normalisation) 전략과 연결돼 있을 뿐만 아니라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 아래의 좌파와 마크롱주의에서 야기된 실망과도 연결돼 있다"고 짚었다.

이어 "이런 맥락에서 RN은 아주 유능하지는 않더라도 다른 정치 조직보다는 유능한 정당으로 인식된다"고 덧붙였다.

RN의 경제 정책에 지지를 보내는 유권자들과는 달리 RN 등 정권이 바뀌더라도 프랑스의 경제 전망은 우울하다. 극우 RN과 극좌파 정당들은 총선을 의식해 경쟁적으로 포퓰리즘 정책을 내놓고 있다.

마크롱 대통령은 재정 고갈을 이유로 연금 수령 연령을 62세에서 64세로 인상하며 국민적 반발을 불렀는데, RN은 이 연령을 오히려 60세로 낮추는 방안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뿐만 아니라 에너지·연료 부가가치세 즉시 인하도 공약으로 내걸었다.

전문가들은 이 두 가지 정책만으로도 연간 200억~300억 유로(약 29조7000억~44조5000억 원)가 들 것으로 전망한다.

중도 우파 공화당 출신의 브루노 르 메르 재무장관은 총선에서 RN이 승리하면 프랑스가 국가적 부채 위기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도 프랑스의 총선이 국가 신용등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FT는 프랑스가 포퓰리즘에 빠지고 있다며 "사회는 변했고, 젊은이들은 역사에 관심이 없다"며 "RN의 강력한 성과는 유럽의 추세, 즉 포퓰리즘 정당을 선호하는 유권자의 우경화를 따른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이민자, 특히 무슬림에 대한 적대감과 자국 우선주의가 포퓰리즘 세력의 입김을 크게 만들었다고 부연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