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방북, 인·태 지역 안보 위기 심화…군비경쟁 촉발 가능성"

북과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조약' 체결…亞 '위기 지도' 새롭게 그려져

"최악의 우려가 현실화…불량국가의 핵무기 개발 돕겠다는 것"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한의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를 포용함으로써 아시아의 우려 목록에 또 다른 잠재적 위기를 추가하고 한반도의 오래된 적개심을 다시 불러일으켰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2일(현지시간) 진단했다.

NYT는 푸틴 대통령이 평양과 하노이를 방문하면서 '아시아의 위기 지도'를 새롭게 그렸다고 전하며, 그 중심에 있는 북한은 "러시아의 정교한 군사 지원 약속으로 갑자기 힘을 얻게 됐다"고 지적했다.

 

앞서 김 총비서와 푸틴 대통령은 지난 19일 평양에서 정상회담을 개최해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맺었다. 이 조약엔 두 쪽 중 한쪽이 무력 침공을 받을 경우 모든 수단으로 군사적 및 기타 원조를 제공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NYT는 인도·태평양의 현 상황에 대해 대만에 대한 중국의 영유권 주장과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군사화를 언급하며 중국의 압박과 미중 간 경쟁을 둘러싼 불확실성으로 역내 국가들이 군사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짚었다.

또한 오는 11월 치러지는 미국 대선과 중국의 핵 무력 확장도 역내에 긴장감을 고조시켰는데 푸틴 대통령의 이번 아시아 순방은 안보 우려를 더욱 높여놓았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핵 무력 확장과 관련, 스웨덴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는 지난 17일 공개한 보고서에서 지난 1월 시점 중국이 보유한 핵탄두가 전년 동기 대비 90기 늘어난 500기가 됐다고 밝힌 바 있다.

필리핀 해양경비대 소속 바가케이호가 30일 중국과의 분쟁지인 스카버러 암초 인근 해역에서 중국 해안경비대소속 경비함 두척으로부터 물대포를 맞고 있다. 필리핀 해안경비대 배포 비디오 촬영. 2024.04.30 © AFP=뉴스1 © News1 정지윤기자
필리핀 해양경비대 소속 바가케이호가 30일 중국과의 분쟁지인 스카버러 암초 인근 해역에서 중국 해안경비대소속 경비함 두척으로부터 물대포를 맞고 있다. 필리핀 해안경비대 배포 비디오 촬영. 


NYT는 김 총비서의 수사가 최근 수개월간 눈에 띄게 더 적대적으로 변하면서 한국과 일본은 이미 방어를 강화하고, 미국과 더 가까워지는 방안을 논의해 온 상황에서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진행됐다면서 람 이매뉴얼 주일미국대사의 발언을 소개했다.

그는 푸틴 대통령의 아시아 내 활동 급증을 "최악의 우려가 현실이 된 것"이라며 "러시아가 방금 한 것은 핵무기를 개발하고 비확산 조약을 위반하는 불량국가의 주요 조직자가 될 것이고 유엔제재를 받는 국가가 이것에서 벗어나도록 할 것이라고 우리에게 말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NYT는 북한의 최대 교역국이자 이 나라에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중국은 이번 푸틴의 방문으로 우려를 갖고 있을 것이라고 진단하면서, 일부 전문가들을 인용해 "푸틴은 이 모든 것을 염두에 뒀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영국 킹스칼리지런던의 새뮤얼 그린 교수(러시아 정치학)는 "푸틴은 중국에서 원하는 모든 것을 얻을 수 없다면, 다른 곳에서 얻으려고 할 것"이라며 "무기와 노동력, 미국과의 대결 의지 등 그의 희망 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슈퍼마켓은 많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이란이 한 국가이고, 또 북한이 있다"고 전했다.

NYT는 또한 북한에 대한 푸틴 대통령의 제스처가 아시아에서 군비 경쟁을 부채질하면 러시아는 이익을 거둘 수 있다고 진단했다. 또 서방의 제재와 전쟁, 인플레이션 등으로 고통받는 러시아 경제는 이 이익을 필요로 한다고 진단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