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유럽서 AI기능 출시 보류…"EU 규제 불확실성 탓"

DMA '시장지배력 남용' 걸릴까봐…'애플 인텔리전스' 출시국서 EU국 제외

 

애플이 유럽연합(EU)의 규제 불확실성을 이유로 아이폰 등에 탑재하기로 했던 인공지능(AI) 기능을 유럽 시장에선 보류하기로 했다.

로이터·AFP 통신에 따르면 애플은 21일(현지시간) 이메일 서한을 통해 "EU의 디지털시장법(DMA)의 호환성 요구는 사용자 개인정보와 데이터 보안을 위협해 우리 제품의 무결성을 훼손할 수 있다"며 △애플 인텔리전스 △아이폰 미러링 △셰어 플레이 등 3가지 기능은 올 하반기 EU 시장에서 출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지난 3월부터 시행된 DMA는 미국 알파벳(구글 모회사)·아마존·애플·메타·마이크로소프트(MS)와 중국 바이트댄스(틱톡 모회사) 등 6곳을 '게이트키퍼(문지기)'로 지정해 이들 플랫폼 사업자가 자신들이 구축한 플랫폼 내에서 시장 지배력을 남용할 수 없도록 규정한다.

EU 조사 결과 DMA 위반 사항이 드러날 경우 플랫폼 사업자는 전 세계 연간 총매출액의 최대 10%를 과징금으로 내야 한다. 반복적으로 위반하면 과징금 비율은 최대 20%까지 올라가며 사안에 따라선 기업 해체도 거론될 수 있다. 이에 발맞춰 애플은 제3의 앱스토어를 자사 운영체제(iOS)에서 설치할 수 있도록 처음으로 허용했지만, EU는 DMA '위반 1호'로 애플을 구글·메타와 함께 조사 중이다.

애플이 AI 기능을 출시하지 않겠다고 발표하자 EU 집행위원회는 대변인을 통해 "EU는 4억5000만명의 사용자를 보유한 매력적인 시장이며 역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모든 기업에 항상 열려 있다"며 "게이트 키퍼들이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기 위한 우리의 규칙을 준수한다면 유럽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애플은 지난 10일 연례 세계개발자회의(WWDC)에서 새로운 AI 기능인 애플 인텔리전스를 선보였다. 애플 인텔리전스는 온디바이스(내장형) AI와 클라우드(가상저장공간) AI를 결합한 하이브리드형 AI다. 오픈AI와의 협력을 통해 애플의 기존 음성비서인 '시리'를 챗GPT와 결합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들은 챗GPT 앱을 구동하지 않고도 시리와의 음성 대화를 통해 궁금한 정보를 얻고 챗GPT에 업무 지시를 내릴 수 있다. 애플은 우선 아이폰15프로·15프로맥스와 M1·M2칩이 탑재된 아이패드와 맥북에서 iOS 업그레이드를 통해 애플 인텔리전스를 정식 출시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자사 AI 기능만 독점적으로 자사 기기에 기본 탑재되는 만큼 DMA 위반 가능성을 우려해 EU를 출시 지역에서 제외한 것으로 보인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