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벙어리 냉가슴' 파월, 워싱턴 좌우진영 정치 공세 압박

고금리로 주택 비용 압박…선거 앞둔 금리인하 힘들어

 

미국의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를 이끄는 제롬 파월 의장이 워싱턴 정가의 좌우 진영에서 모두 거센 압박을 받고 있다고 야후파이낸스가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 대선 후보는 11월 선거에서 승리하면 파월 의장을 해임하겠다는 으름장을 내놓고 있다. 단순한 으름장에 그치지 않을 위험도 있다.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트럼프 선거운동 본부와 연계된 한 그룹은 연준의 독립성을 심각하게 훼손할 수 있는 제안초안을 작성했다. 초안에는 대통령이 금리 설정에 직접 발언권을 가져야 한다는 파격적인 주장까지 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WSJ은 전했다.

 

연준 저격수로 유명한 엘리자베스 워런을 포함한 민주당 상원의원 3명과 예산위원회 위원장 등은 파월 의장에게 서한을 보내 금리를 내릴 것을 촉구했다. 주택 비용 때문이다.

이들은 "미국도 현재 주택 공급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높은 금리는 신규 주택 개발 비용을 끌어 올리고 기존 주택 소유자가 더 큰 주택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공급 위기를 악화시킨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파월 의장은 그동안 데이터에 달렸다는 기준을 설정해 철저하게 준수하며 정치적 외압을 견뎌왔고 이러한 전략을 고수할 것으로 보인다.

 

들어오는 데이터에 따라 정책을 결정한다는 원칙을 고려할 때 결국 선거 직전 금리를 인하하려면 그 기준이 매우 높을 것이라고 미국기업연구소 살로몬스미스바니의 데스몬드 라크먼은 야후파이낸스에 말했다.

문제는 파월 의장이 고금리로 주택시장을 강타하고서는 다시 돌아와 추가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악순환이 계속된다는 것이라고 좌파 성향의 그라운드워크 콜라보라티브의 빌랄 베이던 정책연구소장은 평가했다.

베이던 소장은 파월 의장이 통화정책의 진로를 변경해야 하지만 정치적 외압에 따른 것으로 인식될 것을 걱정해 그렇게 하지 못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라크먼은 파월이 12일 금리결정 이후 기자회견에서 정치적 잡음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기술적 측면에 집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주택 시장으로 주제가 바뀌었을 때 파월 의장이 자신의 입장을 어떻게 설명할지는 앞으로 몇 달 동안 면밀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야후파이낸스는 지적했다.

베이둔 소장은 파월 의장이 주택 문제에 대한 자신의 접근 방식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주택은 미국인들이 미래를 보는 방식에 있어 근본적인 요소이며 "특히 주택에 대한 불만이 더 많은 추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