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만 있나…코끼리도 멀리 있거나 어린 개체 말 걸 때 '이름' 부른다

사람처럼 코끼리도 서로 이름을 붙여주고 멀리 있거나 어린 개체를 부를 때 사용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0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한 다국적 연구팀은 '자연 생태와 진화'라는 저널에 실린 최신 연구에서 이같이 밝혔다.

연구자들은 돌고래와 앵무새는 같은 종의 다른 동물의 소리를 모방하여 서로에게 말하는 것이 관찰됐지만, 코끼리는 모방이 아닌, 고유한 이름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비인간 동물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사용해 1986년부터 2022년까지 케냐의 삼부루 국립보호구역과 암보셀리 국립공원에서 기록된 코끼리의 으르렁거리는 소리를 조사했다.

연구팀은 분석을 통해 469개의 서로 다른 울음소리를 식별했는데, 이 울음소리는 코끼리 101마리가 냈고(발신자), 다른 117마리가 이 소리를 받았다(수신자). 코끼리의 울음소리는 시끄러운 나팔 소리부터 사람의 귀로는 들을 수 없을 만큼 낮게 우르릉거리는 소리까지 다양했다.

코끼리를 부를 때 이름이 항상 사용되는 것은 아니었다. 주로 먼 거리에 있거나, 어른들이 어린 코끼리에게 말을 걸 때였다. 또한 다 큰 코끼리가 어린 코끼리보다 이름을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연구진은 이것이 '이름 부르기'라는 특별한 재능을 배우는 데 수년이 걸릴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보았다.

 

또한 연구팀에 따르면 코끼리에게 가족이나 친구가 부르는 자신의 이름 녹음을 들려주자 신나게 반응했지만, 다른 코끼리들의 이름을 들려줄 때는 심드렁했다.

연구를 이끈 마이클 파도 연구자는 "이 연구는 코끼리가 각 개체에 대해 특정한 발성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다른 개체의 다른 호출을 무시하고 자신을 부르는 호출을 인식하고 반응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선임 연구 저자인 조지 휘트마이어는 "코끼리가 이름을 사용한다는 것은 추상적인 사고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사람과 코끼리가 "고도로 발달한 두뇌를 바탕으로 풍부한 사회적 삶을 누리는 대가족을 이루는 것" 등 많은 유사점을 갖고 있다면서 "이름을 사용한다는 것을 시작으로 더 놀라운 일이 발견될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