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간 AI 경쟁 본격 시작…엔비디아 더 오를 수밖에"-WSJ

빅테크 기업 이어 세계 각국 직접 AI에 뛰어 들어

 

기업들에 이어 세계 각국이 인공지능(AI)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며 엔비디아 주가가 더욱 오를 것이라고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WSJ)이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미국은 물론, 아시아, 중동, 유럽 국가들이 자체 AI를 구축하기 위해 새로운 국내 컴퓨팅 시설에 수십억 달러를 쏟아붓고 있다며 이는 엔비디아에 새로운 매출원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세계 각국이 AI 구축에 나서고 있는 것은 미중간 기술 전쟁이 고조되면서 자립을 추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미국과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이 자체 AI를 확보하기 위해 혈안이 돼 있다.

엔비디아는 최근 국가간 경쟁으로 연간 매출이 100억달러 정도 더 늘 것이라고 보고 있다. 현재 이 회사의 분기 매출은 약 260억달러다.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정책 담당 임원을 지냈고 현재 싱크탱크인 신미국안보센터에서 일하고 있는 파블로 차베스는 "대부분 정부가 생성형 AI 혁명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엄청난 불안감을 갖고 있다"며 "이 불안감은 해소하기 위해 각국 정부가 속속 AI에 직접 뛰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각국 정부의 노력은 엔비디아뿐만 아니라 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영을 지원하는 미국 기술 기업들에 엄청난 기회다.

AI에 대한 민간 부문의 수요가 둔화될 즈음 이제는 국가가 나서면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최근 젠슨 황 엔비디아에 최고경영자(CEO)는 주로 국가수반을 만난다.

지난해 9월 나렌디라 모디 인도 총리를 만났고, 12월에는 일본과 싱가포르 총리를, 이번 대만 방문에서도 대만의 최고 지도부를 두루 만났다.

 

특히 싱가포르는 적극적이다. 싱가포르는 국영 통신사인 싱텔이 엔비디아와 합작해 동남아시아 AI 허브가 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

싱가포르 등 아시아뿐만 아니라 프랑스와 이탈리아를 포함한 유럽 전역에서 비슷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중동은 물론 중국도 적극 나서고 있다.

AI 열풍 초기, 미국의 주요 빅테크 기업들이 자체 AI를 구축하기 위해 엔비디아의 AI 전용칩을 확보하기 위해 혈안이 됐었다.

이제 어느 정도 이 수요가 충족되자 이제는 세계 각국이 본격 나서고 있는 것이다.

주가가 1000달러를 돌파해 10대1 액면 분할을 단행한 엔비디아의 주가가 더욱 오를 수밖에 없다고 WSJ은 전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