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후 韓 인구 매년 1%씩 감소…100년 뒤면 2000만명 밑돈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인구성장률 감소폭, 갈수록 커져

100년 뒤 우리나라 인구 1936만명 전망


저출생·고령화가 이대로 진행된다면, 30년 뒤부터 우리나라 인구가 전년 대비 매해 1% 이상 감소할 전망이다. 약 100년 후에는 우리나라의 인구가 2000만 명을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

6일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054년 전국 인구는 중위 추계 기준으로 전년보다 1.03% 감소할 전망이다.

 

장래인구추계는 저위, 중위, 고위 추계가 있다. 고위 추계는 최상, 저위 추계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한다.

인구성장률은 2022년 -0.19%에서 2034년 -0.20%, 2038년 -0.30%, 2041년 -0.42%, 2044년 -0.53% 등으로 점점 감소 폭이 커지게 된다.

이후 2054년에는 1.03%로 감소율이 처음 1%를 넘어설 전망이다. 30년 뒤부터는 매해 인구가 전년보다 1% 넘게 줄어드는 셈이다.

 

시도별로 보면 모든 지역에서 출생아 수 대비 사망자 수가 빠르게 늘면서 인구가 매해 자연 감소하는 규모가 커지게 된다.

경상북도는 2022년 출생아 수가 1만 1000명, 사망자 수가 2만 6000명으로 1만 5000명 자연 감소했다. 30년 뒤인 2052년에는 출생아 수가 7000명, 사망자 수가 4만 4000명으로 인구가 3만 7000명 감소한다.

경기도의 경우 2022년 출생아 수가 7만 4000명, 사망자 수가 7만 8000명으로 자연감소 규모가 4000명에 그쳤다. 그러나 2052년에는 출생아 수가 6만 2000명, 사망자 수가 18만 6000명으로 인구가 12만 4000명 감소하게 된다.

지난 2022년 기준으로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출생아 수(3000명)가 사망자 수(2000명)를 넘어선 세종시도 2045년부터는 인구가 자연 감소하기 시작할 것으로 전망됐다.

현재의 저출생·고령화 추이가 계속된다면 모든 시도가 인구 소멸을 걱정하는 처지가 되는 셈이다.

실제 통계청의 2052∼2122년 시도별 장기추계에 따르면 약 100년 뒤인 2122년 우리나라 인구는 1936만 명으로 2000만 명대가 깨질 전망이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