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月 28만원 내고 가만히 누워계세요"…중국, 청년 전용 '양로원' 등장

취업난에 지친 '탕핑족' 겨냥…경기 둔화·일자리 부족 사회상 반영 

 

중국에서 청년 전용 양로원이 생겼다. 청년 양로원은 형용 모순이다. 양로원은 노인을 위한 시설이다. 그래서 노인을 뜻하는 ‘늙을 노(老)’자가 들어간다.

그런데 취업난에 시달려 하루 종일 누워있는 이른바 ‘탕핑족’을 위한 청년 전용 양로원이 생긴 것.

 

탕핑족은 드러누울 당(躺)에 평평할 평(平), 즉 편하게 드러눕는다는 뜻으로, 취업난에 시달린 중국 젊은이들이 기성세대에 대한 저항을 목적으로 적극적인 근로도 소비도 회피하고 최소한의 생계 활동만 유지하면서 대부분 시간을 누워서 보내는 것을 말한다.

중국의 젊은이들이 청년 양로원에서 탕핑을 즐기고 있는 것이다.

중국 젊은이들이 최소한의 비용으로 탕핑을 즐길 수 있기 때문에 청년 전용 양로원이 우후죽순 격으로 생기고 있다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9일 보도했다.

 

청년 전용 양로원은 번 아웃된 20대와 30대를 겨냥하고 있다.

청년 양로원은 동부 연안의 1급 도시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중국의 변두리인 남서부 윈난성 등 외진 곳에도 많이 있다고 SCMP는 전했다.

청년 양로원은 바, 카페 및 노래방을 갖춰 입소자들이 사교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청년 입소자들이 이 같은 시설을 이용, 서로의 처지를 공감하고, 정보를 교환한다. 

이 시설에 청년들이 몰리고 있는 것은 비용이 싸기 때문이다. 대부분 시설의 이용료가 월 1500위안(약 28만원)에 불과하다.

청년들이 부모의 눈치를 보지 않고 맘껏 탕핑을 즐기기 위해 이같이 값싼 시설에 입소하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현상은 중국의 경기 둔화로 새로운 일자리가 부족하고, 일하기 싫어하는 젊은이들이 급증하는 사회상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라고 SCMP는 전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