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스와프, 美 백신과 韓 생산설비 교환?…"백신 대 백신 현실적"

국내 설비로 유전자백신 생산하려면 최소 1~2년 걸려

미국 남는 백신 제공 받고, 추후 국내 도입 물량 미국에 제공 '현실적'


우리나라 정부가 코로나19 백신 확보를 위해 미국 정부와 '백신 스와프'를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거래 성사 가능성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백신 스와프는 백신 여유분이 있는 국가가 상대 국가에 백신을 빌려주고, 추후 백신으로 되받거나 생산시설을 제공받는 등의 국가간 거래를 말한다.

아직까지 구체적인 내용을 알려진 바 없으나, 미국으로부터 백신을 받을 경우 동일 백신으로 되갚는 다른 해외 국가 사례와 달리 국내에서 백신 생산시설을 제공하는 방안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일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먼저 국내 백신 생산시설을 제공하는 방식은 상당한 시일이 소요되는 장기 투자를 필요로 한다. 특히 화이자나 모더나 등 mRNA 방식의 유전자 백신의 경우 기술이전 및 위탁생산 계약 시 국내에서 당장 생산할 수 있는 업체는 없는 실정이다.

단, 한미약품, GC녹십자, 에스티팜, 바이넥스 등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을 갖춘 업체에서 기술 이전을 받아 기존 바이오의약품 생산라인을 변형해 새로운 생산라인을 구축할 가능성은 있다.

문제는 시간이다. 생산라인을 만들고, 세포주 배양, 공정 시운전 등 제품 검증을 하기까지 인·허가 등 절차를 최소화한다고 해도 약 1~2년의 시간이 소요된다. 유전자 백신 이외 기존 백신 제조 방식의 경우 시간이 단축되지만, 실제 제품 생산 시에도 세계 백신 공급이 부족할지 예측하기 어렵다.

결국 미국과 미국 백신 제조회사가 국내에 생산시설을 추가로 확보한다고 해서 얻는 이익이 분명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금까지 생산경험이 전무한 국내 생산시설에서 나올 수 있는 백신의 물량도 불확실해 양국간 장기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이와 관련 국내 한 위탁생산업체 관계자는 "정부 인센티브 등이 제시되지 않는다면 실제 다른 해외 국가를 두고 국내 생산설비를 이용하려고 하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 입장에서야 해외 기술을 받아 생산 경험까지 쌓을 수 있는 좋은 기회이지만, 바꿔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오히려 백신과 백신을 교환하는 방식이 현실적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우리나라는 선구매 계약상 인구의 100%를 넘는 7900만명분(1억5200만회분)을 확보하고 있는데 백신을 미리 대량 공급받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생산설비 제공이나 추가 구매 비용 부담 없이 미리 미국의 남는 백신을 제공받고, 추후 국내에 들어오는 물량을 제공하는 것이 상호 이익에 부합한다는 시각도 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노바백스 백신의 경우 국내에서 위탁생산을 하기 때문에 수급 기반도 안정적이어서 미국측에서 백신을 돌려받는 불확실성에 대한 부담도 덜하다는 것이다.

실제 미국 정부는 올 3월 기준으로 자국 인구 모두에 접종할 수 있는 양의 코로나19 백신을 확보했다는 판단에서 멕시코·캐나다에 영국 아스트라제네카(AZ) 개발 백신 여분 총 400회 접종분을 지원한 뒤 추후 같은 양의 백신을 돌려받는 내용의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제약업계 한 관계자는 "지금 백신 확보가 부족한 것이 아니라 제 때 공급이 안된다는 점이 문제 아니냐"며 "이미 인구의 100% 이상의 백신을 구매했는데 추가 구매 비용에 대한 부담도 적지 않은 상황에서 백신대 백신 교환이 현실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