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총리 "롱코비드 대규모 조사…후유증 치료 기준 마련할 것"

코로나 의료대응 개편안…외래 '호흡기 진료센터'로 통합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 설치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후유증인 '롱-코비드(Long-Covid)에 대해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후유증 치료를 위한 기준을 만들기로 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1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이같은 내용의 코로나19 의료대응 체계 개편 방안을 발표했다.

한 총리는 그동안 "많은 분들이 코로나19 후유증을 경험하고 계시지만, 이에 대한 제대로 된 조사는 미흡했다"며 "롱-코비드에 대해 체계적으로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정부는 대규모 조사를 통해 코로나10 후유증의 원인과 증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코로나19 후유증 치료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만들겠다"고 했다.

또한 정부는 코로나19 외래 진료체계를 정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한 총리는 "그간 외래진료체계는 코로나19 검사와 비대면 진료인 전화 상담을 하는 '호흡기 전담 클리닉'과 '호흡기 진료 지정의료기관', 확진자를 대면 진료하는 '외래진료센터' 등이 각각 운영돼 국민들이 겪는 혼란과 불편이 적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양한 코로나19 외래 진료기관을 '호흡기 환자 진료센터'로 통합하고, 센터별로 가능한 진료 유형을 구분해 안내하겠다"며 "검사와 대면 진료, 치료제 처방까지 모두 가능한 '원스톱 진료기관'은 5000개 이상 확충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부는 방역정책 수립 시 전문가의 분석과 견해가 더욱 존중되는 구조를 만들기 위해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회'를 설치한다.

한 총리는 "위원회에서 감염병 위기상황을 평가해 정책을 제안하면, 정부는 적극적으로 방역정책에 반영하겠다"고 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