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광장에 '100m태극기'·'꺼지지 않는 불꽃'…국가상징공간으로 조성

오세훈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자긍심 느끼는 공간으로 조성"

광화문광장, 워싱턴 모뉴먼트·에투알 개선문처럼…2026년 준공


2026년, 서울 광화문광장이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상징성을 담은 '국가상징공간'으로 거듭난다. 


25일 서울시에 따르면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오전 제74주년 6·25를 맞아 인천상륙작전과 9·28서울수복 등 참전용사 7명을 초청해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보훈의 뜻을 기렸다.


이 자리에서 오 시장은 "6·25 참전용사의 숭고한 희생과 헌신 덕분에 오늘의 대한민국이 자유와 평화를 누릴 수 있는 것"이라며 "그 숭고한 뜻을 잊지 않고 기리기 위해 광화문광장에 국가상징조형물과 꺼지지 않는 불꽃을 건립해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자긍심을 느낄 수 있는 국가상징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워싱턴DC 내셔널몰의 '워싱턴 모뉴먼트', 파리 샹젤리제 거리의 '에투알 개선문', 더블린 오코넬 거리의 '더블린 스파이어'처럼 '광화문광장'에 국가상징공간을 조성한다. 이를 위해 광화문광장에 국가상징시설인 '대형 태극기'와 '꺼지지 않는 불꽃' 건립을 추진한다.


건립 예정인 '국가상징조형물'은 3‧1운동, 서울 수복, 87년 6월 항쟁 등 대한민국 국민과 역사를 함께하며 희로애락을 나누고, 월드컵‧올림픽 등에선 국민을 단합시키는 역할을 했던 대표적인 국가상징물 '태극기'가 중심이다. 6‧25 전쟁 직후 최빈국이었으나 현재는 국제사회를 선도하는 대한민국의 위상과 정체성을 예술적으로 표현한 조형물에 태극기를 접목한다.


이 조형물은 단순한 국기 게양대가 아닌 예술성과 첨단기술력이 집약된 작품이 될 예정이다. 국가 행사 때는 먼 거리에서도 그 위용을 확인할 수 있는 빛기둥과 미디어 파사드(15m 내외)‧미디어 플로어 등으로 연출된다.


대형 조형물 앞에는 두 번째 상징물인 '꺼지지 않는 불꽃'이 설치된다. 기억과 추모를 상징하는 불을 활용해 일상에서 호국영웅을 추모할 수 있는 공간으로, 선대의 나라 사랑에 대한 고마움을 표하고 대한민국의 영속을 기원하는 역할을 한다.


국가상징공간 부지 옆 세종로공원(세종문화회관 북측)도 조성 30여 년 만에 '도심 속 시민 여가 공간'으로 재탄생한다. 광화문광장과 자연스럽게 연결해 일체화된 녹지공간으로 조성되며 광장 주변 유일한 거점형 편의시설도 마련해 특색있는 콘텐츠를 선보인다.


시는 광화문광장 내 국가상징공간과 조형물, 세종로공원은 조화와 상징성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도록 8월~11월 통합설계공모를 추진한다. 2025년 4월까지 기본‧실시 설계 후 5월 착공계획이다. 국가상징공간은 2026년 2월, 세종로공원은 2026년 11월 준공 예정이다.


오 시장은 "나라 사랑하는 마음이 우리 국민들의 일상 속에 늘 함께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지 고민을 거듭한 결과, 대한민국의 중심이자 1년에 2000만 명이 방문하는 광화문광장에 국가상징공간을 조성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광화문광장에 국가상징공간을 새롭게 조성하는 만큼 서울시민뿐만 아니라 모든 국민이 사랑하고 자긍심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