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대표 출마 앞둔 한동훈…尹과 '불가근불가원' 딜레마

'어대한' 기류 한동훈, 대통령실과 관계 설정이 변수

당대표 선출돼도 야당 집중 공세·짧은 임기 숙제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이 차기 당 대표 경선 출마를 결정했지만 윤석열 대통령과의 불화가 발목을 잡고 있다. 당 대표 출마를 앞두고 윤 대통령 및 '친윤'(친윤석열계) 의원들과 통화하는 등 유화 제스처를 보내고 있지만, '윤·한 10초 통화설'이 불거지며 되레 갈등이 부각되고 있어서다.


22일 여권에 따르면 한 전 위원장은 오는 23일 오후로 예정된 당 대표 출마 선언을 앞두고 입장문을 작성하고 있다. 출마 선언문에는 여당 대표 후보의 역할과 책임, 민생 경제 대책, 국민의힘 패배로 끝난 지난 총선에 대한 반성과 정치 개혁 방안 등이 담길 것으로 전해졌다.


한 전 위원장은 출마를 확정하기 전인 지난 19일 윤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이기는 정당을 만들겠다"며 출마 의사를 먼저 전하기도 했다. 최근 당내 친윤계 인사들에게도 직접 전화를 걸어 도움을 구했다. '윤·한 충돌'에 우려를 표하는 보수 지지층과 당내 여론을 의식한 조치로 풀이된다.


한 전 위원장으로서는 당대표 경선 승리를 위해 한 달 내 용산과의 관계를 개선하면서도, 대야(對野) 협상력을 확보하기 위해 독자적인 운신의 폭을 확보하는 '고차방정식'을 풀어야 한다.


현재 야당은 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폐기된 '해병대원 특검법'을 단독 의결하는 등 대통령실에 대한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현안을 두고 윤 대통령에게 유리한 입장을 나타낼 경우 상임위 등에서 대야 협상 여지가 줄어들고, 대통령실이 불쾌할 정도로 선을 그을 경우 '윤·한 충돌'로 인한 지지층의 우려가 이어질 수 있다. 대통령실과 '불가근불가원'(不可近不可遠)의 관계를 유지하며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해야 하는 셈이다.


특히 한 전 위원장은 그간 여권과 국민 여론이 엇갈리거나 예민한 정쟁 이슈에 대해서는 메시지를 낸 적이 없다. 여권의 유력 대선주자는 물론 당권 주자들이 연일 관련 입장을 밝히는 것과는 대비된다.


해병대원 특검법을 두고 같은 당 나경원 의원은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혔고, 21대 국회 마지막 이슈로 떠올랐던 연금개혁안을 두고도 나경원·윤상현 의원은 여야가 합의한 모수개혁을 우선 처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 전 위원장은 정부의 해외직구 규제 정책을 비판한 것 외에는 쟁점 사안과 거리를 두고 있다. 민심과 당심, 친윤과 비윤이란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 입장이라 침묵으로 관망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문제는 윤·한 갈등을 봉합해 당대표에 당선되더라도, 임기는 1년 2개월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국민의힘 당헌 71조2항에 따르면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하고자 하는 자는 상임고문을 제외한 모든 선출직 당직으로부터 대선 1년 6개월 전에 사퇴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윤 정부의 임기는 2027년 5월 10일까지로, 한 전 위원장은 대권에 도전하려면 그 전인 2025년 9월에 조기 사퇴해야 한다. 현 정권의 그늘에서 차기 대권 주자로 자리매김해야 하는 과제를 안은 셈이다.


특히 현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한 전 위원장보다 높은 지지율을 유지하고 있다. 한국갤럽이 지난 18~20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21일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재명 대표의 호감도는 33%, 한 전 위원장의 호감도는 31%다(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한 전 위원장은 이미 11개 국회 상임위를 보유한 야당을 상대로 여당을 진두지휘해야 한다. 소수 여당 당대표가 '업적'을 쌓도록 야당이 허락할 리 만무하다. 더구나 차기 대권의 가장 유력한 야당 후보가 당대표가 될 경우 집중적인 공세는 불 보듯 뻔하다. 한 전 위원장이 당대표에 선출될 경우 이런 정국 구도의 한복판에서 대통령과의 관계를 유지하며 성과를 내야 하는 리스크를 떠안게 될 예정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