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왕고래' 가스전 개발 첫 전략회의…SK·GS·포스코인터 참여

안덕근 "동해 가스전, 국내외 투자유치 필요…국익 극대화 원칙"

엑슨모빌 등 5개 해외업체 설명회 예정…국내 대형사도 잇단 관심


정부가 21일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방향을 정하고, 국내외 투자 유치를 위한 첫 전략회의를 시작했다. 엑슨모빌 등 글로벌 메이저 업체 5곳이 동해 가스전 개발에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GS에너지와 SK E&S, 포스코인터내셔널 등 국내 유력 에너지 기업도 이날 회의에 참석하면서 개발 참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서울 종로구 석탄회관에서 안덕근 산업부 장관 주재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전략회의'를 열어 사업 현황을 공유하고 시추 계획과 투자 유치, 제도 개선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기획재정부, 해양수산부, 외교부, 행정안전부 등 유관 부처 관계자와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등 자원 공기업 경영진이 참석했다. 또 대한지질학회, 자원공학회,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자원경제학회 전문가들과 함께 포스코인터내셔널, SK E&S, GS에너지 3사 경영진도 참석해 사업에 관심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석유공사는 심해 개발·운영 경험이 부족하고 시추 1공당 1000억 원 이상 소요되므로 국내외 기업의 투자는 반드시 필요하다"며 "국익 극대화라는 원칙하에 국내·외 투자유치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에는 글로벌 메이저 석유기업인 엑손모빌 등 5개 해외 업체가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엑슨모빌은 석유공사의 일부 탐사 데이터도 열람하면서 추가 검증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석유공사는 프로젝트에 관심을 보인 기업들을 대상으로 로드쇼(사업설명회)를 열 계획이다.


또한 산업부는 현행 해저광물자원개발법은 대규모 유전·가스전 개발에 적합하지 않은 체계로 보고 조광제도의 정비를 추진한다. 조광료 부과 요율을 정부와 투자자 간 적정 수익 분배가 가능하도록 조정하고 조광권을 유망구조의 시추탐사와 개발에 적합한 방식으로 분할할 것으로 예상된다.


안 장관은 "동해 심해 가스전에 대한 국민적 기대가 높은 만큼 이제는 모두의 지혜를 모아야 할 시점"이라며 "정부는 앞으로 각계와 적극 소통하면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