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노조 "우리가 욕받이냐…예약 취소 업무, 의사가 직접 해라"

"명분 없는 집단 휴진…대응 업무 거부"

"정부, 이달 내 '의정갈등' 해법 내놔야"


오는 18일 대한의사협회의 집단휴진이 예고된 데 대해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은 의료계에 "환자생명 외면하는 명분없는 집단 휴진을 철회하라"며 "정부는 6월 내 완전한 의정갈등 해법을 내놔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건의료노조는 14일 의사 집단휴진에 대한 입장문을 통해 "누구를 위한 집단휴진인가. 의사 집단휴진은 어떤 명분도 정당성도 없다"면서 "병원 노동자들은 의사 집단휴진에 따른 진료변경 업무를 거부한다"고 밝혔다.


노조는 "일방적이고 무책임한 진료변경 업무에 협조할 수 없다. 진료변경 업무를 거부하는 병원노동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사례가 있다면 노조 차원에서 강력히 대응하겠다"며 "우리 병원노동자들은 의사들의 욕받이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는 의사 집단휴진에 따른 진료·수술 연기나 예약 취소 업무를 거부한다"며 "예약된 환자의 동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진료·수술을 연기·취소하는 업무는 모두 의사들이 직접 담당하고, 그에 따른 책임도 지라"고 지적했다.


노조는 또 정부와 병원에 "진료 정상화를 위한 적극적인 대응책을 마련하라"며 "우리는 휴가사용 강제, 임금삭감, 임금체불, 인력축소, 구조조정 등 의정 갈등으로 발생한 위기를 노동자들에게 전가하고 책임을 떠넘기는 그 어떤 행위도 절대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노조는 정부에 "의정갈등이 더 이상 길어져서는 안 된다. 정부는 이달 내에 전공의 집단 진료거부 사태와 의사 집단휴진 사태를 완전하게 해결하고 진료를 정상화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노조는 "이달 내 진료 복귀하는 전공의에게 어떤 불이익도 없게 하는 행정조치를 내놔야 한다. 열악한 전공의 근무여건 개선책도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한다"면서 "이달 말까지 의사단체를 포함해 의료개혁 논의기구 구성을 완료하고 정상 가동해야 한다"고 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