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가계부채율, 기준연도 개편했지만…여전히 '세계 1위'

국민계정 기준연도 변경…가계부채 비율, 100.4%→93.5%


한국의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새로운 기준을 적용했음에도 여전히 세계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9일 국제금융협회(IIF)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기준 연도를 2015년에서 2020년으로 변경하면서 100.4%에서 93.5%로 낮아졌다.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도 113.9%로 8.4%p 떨어졌다.


이는 한은의 기준 연도 개편으로 지난해 명목 GDP 규모가 2401조 원으로 7.4% 증가한데 따른 결과다. 한은은 이달 5일 국민계정 통계의 기준년을 2015년에서 2020년으로 바꾸고 이를 2000~2023년 시계열에 반영했다.


다만 이렇게 부채 비율이 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보다 높은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금융협회(IIF)가 세계 34개국을 집계한 통계(지난해 말 기준)에 따르면 한국은 1위 자리를 그대로 유지했다. 2위인 홍콩(93.3%)과의 격차를 7.1%p에서 0.2%p로 축소했지만, 태국(91.6%)‧영국(78.5%)‧미국(72.8%) 등 5위권 국가와 비교하면 큰 차이가 난다. 한국을 제외한 33개국 평균치는 34.2%다.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122.3%에서 113.9%로 8.4%p 떨어졌다.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기준 연도 개편에 따라 한국의 순위가 세계 4위에서 5위로 한 계단 내려갔다. 일본이 114.5%로 우리나라와 자리를 바꿨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