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숙 순방 기내식' 6292만원 중 4125만원 '운송·보관료'

윤건영, 문체부 제출 상세내역 공개…"고정비용이 65.5%"

민형배 "김건희 특검법 여론 확산에 김정숙 물귀신 작전"


문재인 정부 시절 청와대 참모를 지냈던 더불어민주당 인사들이 7일 김정숙 여사의 인도 순방 '셀프 초청' 및 '황제 기내식' 의혹에 대해 문화체육관광부 자료를 통해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이들은 의혹을 제기한 국민의힘을 향해 "충성 경쟁이라도 국익을 훼손하는 일을 하지 말라"고 직격했다.

김 여사의 인도 방문 당시 대표단장을 맡았던 도종환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수행원이었던 고민정 민주당 의원, 문재인 정부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출신 윤건영 민주당 의원 등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도 전 장관은 '셀프 초청' 의혹에 대해 "(김 여사의) 2018년 11월 인도 방문은 그해 7월 정상회담에서 모디 인도 총리의 요청에 따른 것이었다"며 "김 여사가 가는 게 비공식적으로 논의되자 모디 총리가 적극 환영하면서 국빈으로 대접한다는 초청장이 오게 된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이날 오전 한 라디오 방송에서 해당 초청장을 공개하기도 했다.

고 의원도 김 여사의 방문 배경에 대해 "인도 방문 당시 한국어가 인도의 제2외국어로 채택됐고,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에 한국 역사 과목이 포함됐다"며 "많은 외교 성과를 일일이 다 설명드리지 못한다. 국민의힘은 아무리 충성 경쟁이라고 해도 국익을 훼손하는 일을 멈춰 달라"고 비판했다.

윤 의원은 '황제 기내식' 의혹에 대해 "문체부가 그동안 제출하지 않았다가 오늘에서야 자료를 줬다"며 기내식 관련 비용의 상세 내역을 공개했다.

 

윤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기내식비'로 알려진 6292만원 중 실제 기내식 비용(식자재 및 조리인건비)은 2167만원(34.4%)이다. 나머지 4125만원(65.5%)은 △기내식 운송 및 보관료(3500만원) △기내식 보관용 드라이아이스(25만원) △기내식 외 식료품(600만원) 등으로 구성돼있다.

그는 "전체 기내식 비용 중 기내식을 제공하기 위한 운송비, 보관료 등 순수한 식사와 관련없는 고정비용이 전체의 65.5%를 차지한다"며 "김 여사가 실제 이용한 (네 차례의) 식사비는 총 105만원으로, 전체 비용의 4.8%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

원내를 대표해 간담회에 참석한 민형배 민주당 의원은 "김건희 여사에 대한 특검법이 발의되고 수사를 계속해야 한다는 여론이 확산하니 뜬금없이 김정숙 여사를 물고 늘어지는 물귀신 작전을 펼치고 있다"며 "그 물귀신은 자신들의 발을 잡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민 의원은 "당 차원에서의 공식 대응은 없을 것이다"며 "그럴만한 가치가 없는 일이다"고 밝혔다.

앞서 국민의힘은 김 여사의 방문 의사를 우리나라가 인도에 먼저 제안했고 불필요한 예산이 소요됐다며 특검을 촉구했다.

배현진 국민의힘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의하면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2018년 11월 김 여사의 인도 순방을 위해 대한항공과 2억 3000만 원 규모의 수의계약을 체결했다. 이 중 연료비가 6531만 원으로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기내식비가 6292만 원이었다. 전용기 이용 인원은 총 36명이었다.

호준석 국민의힘 대변인도 전날 논평을 내고 "영부인의 첫 단독 외교라 주장하며 대통령도 타지 않은 대통령 전용기로 3박 4일에 걸쳐 인도를 방문한 것은 그저 단독 관광에 혈세를 쓴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