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이 쏘아올린 '집단휴진', 동네 의원까지 확산할까

서울의대 교수들, 응급실·중환자실 제외 17일부터 전체 휴진 결의

의협, 총파업 투표 진행 중…개원가까지 '의료대란' 가능성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들이 오는 17일부터 '전체 휴진'을 결의한 가운데 전국 13만 의사를 대표하는 대한의사협회(의협)의 총파업 투표도 진행 중이어서 집단 휴진이 전국적으로 확산할지 주목되고 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전날 집단 휴진 여부에 대한 전체 교수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17일부터 응급실과 중환자실을 제외한 외래 진료와 정규 수술을 모두 멈추겠다"고 밝혔다.


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서울시보라매병원, 서울대병원 강남센터는 오는 17일부터 응급실과 중환자실을 제외한 외래 진료와 정규 수술을 모두 중단한다.


이들은 정부가 △전공의들에 내려진 진료유지명령 및 업무개시명령 완전 취소 △정부의 책임 인정 △의료 사태 정상화를 위한 합리적 조치 시행 등의 조치를 취할 때까지 휴진을 이어나갈 방침이다.


강희경 비대위원장은 "그 전에라도 상황이 바뀐다면 안 할 생각이고, 우리도 휴진을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상황이 황당하다는 걸 알리려고 하는 것"이라며 "환자분들께 죄송하지만 최대한 피해가 가지 않는 범위에서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서울의대와 달리 다른 의대들은 당장 대학별 집단 행동을 계획하진 않고 있다. 다만 교수들도 의협에 속해 있기 때문에 의협 차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총파업 투표 결과에 따를 전망이다.


최창민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 위원장은 "우린 의협에서 하는 투표 결과에 맞춰 행동하기로 정해져 있는 상황"이라며 "서울대 결정은 결정이고 우리가 별도로 뭘 하는 건 다른 문제라 의협 투표 결과를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의협에 따르면 지난 4일부터 이어지고 있는 의협 총파업 투표는 이날 오후 7시 기준 45%를 넘어서면서 투표 결과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문제는 교수, 개원의, 봉직의 등 13만 의사들이 가입돼 있는 의협이 총파업을 결정할 경우 대학병원은 물론 동네 의원들까지 휴진을 하게 되면서 말 그대로 '의료 대란'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하지만 한편으론 투표 결과와는 달리 실제 참여율은 높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내가 알고 있는 지식층, 기득권층은 단합해서 장기적으로 투쟁하는 성향이 아니다. 자기 이익에 민감하다"며 "지난번 서울의대 교수들의 집단 휴진 참여율 저조가 단적인 사례다. 의대교수 보다 개원의들은 참여를 기대하기가 더욱 어렵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 상황에서 집단 휴진은 국민들의 호응을 받기도 어려운 상황"이라며 "무엇보다 의대 증원은 마무리 단계이고, 전공의 사직도 승인났고, 의료 개혁 특위를 가동하고 있는 정부가 더 이상 내놓을 카드가 없다"고 말했다.


정부도 이런 의료계 움직임에 대해 이날 오전 열릴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에서 논의할 예정이다.


다만 복지부 관계자는 "중요한 건 집단 휴진에 실제로 얼마나 참여하는지, 환자 의료 이용에 차질이 있을지를 봐야 하고 이로 인한 환자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이 정부가 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한편 의협 총파업 투표는 8일 0시까지이며, 그 결과는 9일 오후 2시 서울 용산구 의협 회관에서 열리는 전국의사대표자대회에서 공개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