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사직서 받는 정부…의대생 '휴학계'도 받을까

의대 운영 대학 총장들 협의체 구성…7일 이주호와 면담

일부 의대, 휴학 승인 요구…'등록금 반납' 반대 의견도


정부가 전공의에 대한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을 철회하며 '의료 공백' 돌파구를 찾는 가운데 의대생 휴학을 허용해선 안 된다는 기존 입장을 뒤집을지 주목된다.


의대를 운영하는 대학 총장들이 구성한 협의회에서도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만나 이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6일 교육계에 따르면 의대를 보유한 33개 대학 총장이 구성한 협의체인 '의과대학 정상화를 위한 총장협의회'(협의회)는 7일 이 부총리와 면담을 갖기로 했다.


협의회에는 의대를 운영하는 대학 40곳(차의과대 포함) 중 33곳의 총장이 참여한다. 의대 정원이 늘어난 32개 대학 총장과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회장인 박상규 중앙대 총장이다.


이들은 '집단 유급' 사태가 발생하거나 휴학 신청 승인이 이뤄질 것을 대비해 인원·시설·장비 등 의대 교육환경 개선 지원 방안을 정부에 요구할 예정이다.


유급이나 휴학이 현실화할 경우 예과 1학년은 내년부터 늘어나는 신입생 4600명에 유급·휴학 처리된 학생 3000명을 합쳐 7600여 명이 6년간 수업을 듣게 되는데, 이 경우 총장들은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또 학사 운영 정상화를 위해 교육부·복지부와의 대정부 면담도 추진하겠다고 했다.


협의회장을 맡은 홍원화 경북대 총장은 "의대 교육 지원 방안과 함께 동생(의대생)들이 돌아오기 위해선 형(전공의)들이 돌아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정부에 대책을 촉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공의들의 복귀가 요원한 상황이라 이날 면담에선 의대생들의 휴학 승인에 대해서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연세대, 고려대 등 일부 의대 학장이 의대생 집단 유급 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이들이 제출한 휴학계를 승인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교육부의 결단을 촉구한 바 있다.


교육부는 여전히 '동맹 휴학'을 사유로 한 휴학은 허용해선 안 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가 전공의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을 철회하는 등 입장을 선회하면서 의대생 휴학에 대한 방침도 변화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대학 일부에서는 의대생이 낸 휴학계를 모두 승인할 경우 학생들이 낸 등록금을 돌려줘야 할 수 있어 대학 측에 큰 재정적 부담을 초래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