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렘 가득해" 김유정·변우석의 풋풋 첫사랑…'20세기 소녀'

배우 김유정, 변우석, 박정우, 노윤서가 20세기를 배경으로 풋풋하고 순수한 첫사랑을 그려낸다.

19일 오전 서울 용산구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넷플릭스 영화 '20세기 소녀' 제작보고회가 열려 김유정, 변우석, 박정우, 노윤서, 방우리 감독이 참석했다.

'20세기 소녀'는 어느 겨울 도착한 비디오 테이프에 담긴 1999년의 기억, 17세 소녀 보라가 절친 연두의 첫사랑을 이루어주기 위해 사랑의 큐피트를 자처하며 벌어지는 첫사랑 관찰 로맨스. 단편영화 '영희씨' '자기소개서' '면회가는 날'로 주목 받은 방우리 감독의 첫 번째 장편 영화 데뷔작이다.

방 감독은 이날 영화의 시작에 대해 "첫 시작은 친구와 함께 썼던 교환 일기장이었다"라며 "제가 나이가 좀 있어서 친구들도 결혼하고 육아에 시달릴 때 친구가 첫사랑 오빠를 봤다더라, 단톡방에서 그 얘기를 하다가 오랫동안 묵혀있던 일기장을 꺼냈다"고 했다. 이어 "일기장 80%가 첫사랑 이야기 제가 그때 친구를 위해서 남학생을 관찰하는 이야기가 있더라"며 "이런 짓을 했다고 하면서도 그 시절이니까 할 수있고, 용인됐던 그 흑역사를 첫사랑 이야기로 풀어보면 좋겠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시선이라는 테마로 이야기를 가져갔다"라며 "누군가의 시선에서 사랑이 시작된다는 내용을 담아냈다"고 설명했다.

김유정은 절친 연두의 첫사랑을 위한 사랑의 큐피트로 나선 17세 나보라 역을 맡았다. 그는 "저는 (시나리오를) 너무 재밌게 읽었다"라며 "'드디어 한국에도 이런 설렘 가득한 영화가 제대로 나오는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고 했다. 이어 "우선 감독님이 글을 다 쓰셨다고 들었는데 이 이야기나 상황을 어떻게 만들어 내신지가 궁금했다"라며 "그래서 감독님과 만나서 이야기를 많이 나누고, 보자마자 하고 싶었다. 그 감성 속에 들어가고 싶었고 보라를 겪어보고 싶었다"라고 밝혔다.

특히 김유정은 "'20세기 소녀' 영화 자체가 많은 분들이 보셨을 때 어떤 캐릭터든 공감하면서 이입해서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며 "실제로 느낄 수 있는 감정들이 영화에 녹아있는 것 같아서 연기하면서도 리얼리티함을 느꼈고, 거기에 맞는 연기들을 하려고 노력했다"고 전했다. 방 감독은 "김유정은 처음부터 원픽이었다"라며 "친구의 첫사랑 얘기를 들으며 전적으로 편이 되어줄 수 잇는 그런 보라의 편이 되어주었으면 좋겠다 싶어서 그런 이미지가 있는 배우가 하면 좋겠다고 생각했고, 김유정이 떠올랐다"고 덧붙였다.

변우석은 백현진의 절친이자 보라의 집중 공략 대상인 풍운호로 분했다. 풍운호에 대해 "카메라 만지는 걸 좋아해서 방송반에 들어갔다 성격은 내성적인데 믿을 수 있는 친구에겐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는 섬세하고 순수한 친구라고 생각했다"라고 밝혔다. 이어 "운호가 내성적인 친구라 표현 같은 걸 하기보다는 좀 응축해서 표현하려고 노력했고, 초반에도 감독님과 그런 부분에 대해서 얘기를 많이 했다"라며 "직설적이지 않은 친구라 냉소적인 표정이나 말투를 하려고 노력했다, 촬영하면서 뭔가를 표현할 때 어디까지 표현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얘기를 많이 했다"고 설명했다.

박정우는 연두의 첫사랑이자 우암고등학교 킹카인 백현진을, 노윤서는 백현진에 푹 빠져버린 김연두로 분했다.

'킹카'라고 역할을 소개한 박정우는 "그 시대에 가장 유명했던, 관심을 많이 받았던 분이 최창민 선배님이더라, 그래서 그 분 사진을 많이 참고했고 내가 최창민이라고 생각했다"라며 "사실 저와 싱크로율은 거의 맞지 않다고 볼 수 있다"고 했다. 이어 "그 시절 유행했던 옷이나 말투를 되게 많은 분들한테 물어보기도 하고 찾아보기도 했는데 되게 어려웠다"라며 "그때 허세가 섞였지만 맑고 밝은 느낌의 말투는 어떻게 있을지 고민을 많이 했다"고 전했다.

오디션으로 합류하게 된 노윤서는 "연두는 심장이 약해서 주로 방 안에만 있어서 영화나 드라마만 보고 사랑에 대한 낭만이 많은 친구다. 그리고 생각보다 내면이 단단하고 깊다고 생각했다"라며 "사실 전 첫눈에 반한 경험은 없어서 그 부분이 조금 어떤 표정일까 찾아도 보고, 저한테도 생소한 감정이라 그걸 살려서 이게 뭐지 싶은 걸로 표현하려고 했다"고 밝혔다.

방 감독은 '20세기 소녀'에 특별 출연한 한효주, 류승룡, 옹성우, 공명, 박해준 등 배우들을 언급했다. 한효주의 깜짝 출연에 대해 "한효주씨가 성인 보라 역할을 맡았다"라며 "유정 배우를 생각하면서 (대본을) 썼다 보니 자연스럽게 한효주씨가 생각나더라, 아역과 성인 역할로 두 번이나 같이 한 인연이 있어서 자연스럽게 떠오르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작은 역할이지만 선뜻 해주신 게, 유정 배우 때문이라고 들었다"라며 "두 분의 아름다운 우정에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전했다.

'20세기 소녀'를 비롯해 최근 1990년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들이 나오는 것에 대해 방 감독은 "저도 신기한 게 20년 전 유행이 레트로로 다시 유행이 돌고 있더라, 패션이 20년 주기로 돌아오는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라며 "사실 처음 배우들 만났을 땐 이해를 못하면 어떡하지 하면서 만났는데 다들 알고 좋아하더라. 그래서 그 시대를 구현하기에 좋았다"고 회상했다.

김유정은 요즘 세대들이 1990년대에 열광하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 "아무래도 지금 계속 새롭게 생겨나는 것보다 이전에 있었는데 새롭게 다가오는 게 사람들에게 메리트가 있는 것 같다"라며 "저도 노래, 음악 들을 때나 영화 볼 때 8090년대 걸 찾아보고 좋아하는데 그때 당시 유행했었지만 지금 봐도 너무나 세련되고 좋은 게 많아서 또래 친구들도 그걸 즐기는 게 아닐까, 그 시대도 경험하고 이 시대도 경험하고 싶고, 경험을 하고 싶어하는 게 많은 세대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오는 21일 넷플릭스에서 공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연예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