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단계 격상 발표에 "1.5단계 얼마나 됐다고 매출 또 반토박"
노래방 "고정비 얼마인데"…헬스장 "회원 1/3, 9시 넘어 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선제조치로 정부가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2단계로 격상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19일 1.5단계로 상향 후 5일 만에 다시 2단계로 한 단계 올라가는 것이다.
거리두기 격상으로 정상영업에 제동이 걸린 자영업자들은 "매출이 또 반토막 나게 생겼다"며 울상을 짓게 됐다.
정부는 22일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오는 24일 0시부터 12월7일 밤 12시까지 2주간 2단계로 격상해 시행한다"고 밝혔다. 호남권은 이 기간 1.5단계로 상향한다.수도권은 2단계 격상에 따라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방역관리가 강화된다. 카페는 영업시간과 관계없이 포장·배달만 허용되고 음식점은 저녁 시간까지 정상 영업을 이어가되 오후 9시 이후로는 포장·배달만 할 수 있다.중점관리시설 중 유흥시설 5종인 △클럽 등 유흥주점 △단란주점 △콜라텍 △감성주점 △헌팅포차에 대해선 '집합 금지' 조치가 내려진다.거리두기 2단계 시행으로 정상영업이 힘들어진 자영업자들은 방역을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조치라고 이해하면서도 "당분간 장사는 포기해야 하는 셈 쳐야 한다"며 한숨을 쉬었다.서울 영등포구에서 40년간 한자리에서 호프집을 운영 중인 임모씨(66)는 "저녁 9시 이후가 손님이 가장 많이 몰리는 시간대인데, 홀 장사를 못하게 하면 어쩌나"라며 "호프집 특성상 포장·배달도 별로 많지 않다. 일찌감치 집에 들어가 잠잘 생각만 하고 있다"고 말했다.임씨는 "장사는 안 돼도 임차료나 세금은 매달 내야 한다. 버는 돈은 없고 나가는 돈만 많다"며 "4~5명 있던 종업원도 모두 내보냈다. 지난 40년간 장사를 하면서 올해가 가장 힘들다"고 고개를 저었다.해산물 전문 음식점 사장인 이모씨(50)는 "해산물을 팔다보니 겨울철에 손님이 많은데 2단계로 격상하면 손님이 줄어들 것이 불보듯 뻔하다. 그만큼 힘들어질 수 밖에 없다"며 "저녁 늦게 오는 직장인 손님들도 더러 있었는데 모두 놓치게 생겼다"고 말했다.일식 전문점을 운영 중인 김모씨(50)는 이전에 실시된 2단계 조치 여파도 아직 끝나지 않았다면서 이번에는 매출 타격이 더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김씨는 "모임이나 외식 등을 자제하면서 손님들이 이전처럼 많이 오질 않는다"며 "재난지원금 액수도 너무 적다. 정부 방역조치에 잘 따라줬으니 세금이라도 감면해줘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불만을 토로했다.도너츠 가게를 운영하는 김모씨(58)는 "거리두기 상향 조치와 상관없이 장사 안되는 건 마찬가지"라며 "코로나19 이후 매출은 지난해 대비 절반으로 떨어졌고 2~3명으로 유지하던 아르바이트생도 모두 그만뒀다"고 말했다.
 |
서울 종로구의 한 헬스장(자료사진). 2020.10.13/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
저녁 장사를 접게 된 헬스장, 노래방 점주들의 걱정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거리두기 2단계가 시행되면 노래연습장과 헬스장, 당구장, 스크린골프장 등 실내체육시설은 오후 9시 이후 운영을 중단해야 한다.노래연습장 점주 문모씨(56)는 "한달에 나가는 고정비가 얼마인데 또 거리두기가 격상됐으니 결국엔 망하라는 소리"라며 한숨 쉬었다.헬스장을 운영하는 배모씨(36)는 "거리두기 조정을 할 때마다 헬스장이 문을 닫으니까 환불해 달라는 손님도 많다"며 "저녁 9시 이후에 오는 회원님이 전체 회원수에 3분의 1정도에 달한다. 매출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