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7일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의 만나는 자리에 타고 온 전용 차량(왼쪽)과 해당 차량의 바퀴 에 쓰인 로고. (출처=CNN 갈무리) © News1>
CNN "대북제재 품목…美에 한방 먹이려는 의도"
자동차 애호가로 알려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전용 차량이 평소 이용하던 메르세데스 벤츠에서 또다른 최고급 차량 롤스로이스로 바뀐 것으로 보여 눈길을 끌고 있다.
9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지난 7일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의 회담을 위해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 찾아왔고 당시 검은색 승용차에서 내렸다.
도착 영상에 찍힌 차량의 바퀴 휠에는 알파벳 'R' 모양의 로고가 박혀있었다. 이 로고는 독일의 최고급 자동차 브랜드 롤스로이스의 것이다. 외신들은 이 자동차가 약 50만달러(5억6000만원)의 롤스로이스 '팬텀' 모델이라고 보도했다. 이때까지 김 위원장은 전용 차량은 벤츠였다. 지난 4월 문재인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 벤츠의 최고급 리무진인 마이바흐 풀먼 가드를 타고 왔다. 차량 가격은 100만달러(11억3000만원)를 상회한다. CNN은 "김 위원장이 이 차량을 어떻게 샀는진 확실하지 않지만, 북한 정부에 사치품이나 자동차 판매를 금지하는 유엔의 대북 제재가 위반됐다는 것은 거의 확실하다"고 지적했다.김 위원장의 아버지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국제사회의 제재를 피해 사치품을 구매하고자 현금으로 여행 가방을 꽉 채워 유럽 곳곳을 돌아다니는 '퍼스널 쇼퍼'의 도움을 받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CNN은 "미국이 대북 제재 이행을 고수하는 와중에 김 위원장이 폼페이오 장관을 만날 때 굳이 고급 차를 타고 간 것은 미 외교 수장을 '한방 먹이기 위한' 의도라고 해석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
10일 (현지시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벤츠 리무진 방탄차량이 리셴룽 싱가포르 총리와 회담을 위해 이스타나궁에 도착하고 있다.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